민주에서 진보로

민주에서 진보로
  • 정치는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 배분'이다. 다시 말해 자원을 어떻게 분배해야 바람직한지, 그 우선순위에 따라 정책 방향을 조정하는 일이다. 선거는 그 일을 잘할 것 같은 정당과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다. (22)
  • 전 세계가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를 겪으면서 인간의 생명과 건강, 안전의 중요성에 대하여 새삼 주목하게 된다. '인간 안보'(human security)에 대한 자각이다. 인간 안보의 개념은 1994년 유엔개발계획(UNDP)의 〈인간개발보고서〉를 통해 국제 사회에 통용되기 시작했다. 유엔개발계획은 인간 안보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인간 안보란 지속적인 기아, 질병, 범죄, 억압 등으로부터의 안전이며, 가정이나 직장 등 사람들의 일상을 갑작스럽고 고통스럽게 파괴하는 위협으로부터의 보호이다." (26)
  • 코로나19 팬데믹은 그동안 가려져 있던 부의 불평등 문제를 수면 위로 드러내고 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코로나19 다음 팬데믹은 불평등'이란 제목의 기사에서 "코로나19가 세상을 바꾸는데 단 3개월이 걸렸지만, 이것은 단지 시작일 뿐"이라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수많은 사람의 삶이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42)
  • 피케티는 불평등이 자연적인 원인에서 비롯됐다거나 기술변화에 따라 축적된 것이 아니라 정치와 이데올로기를 통하여 심화됐다고 지적한다. 모든 체제는 정치와 이데올로기를 동원해 불평등을 제도화·정당화시켰고 법과 세금, 사유재산, 교육 체계를 통해 불평등을 심화시켜 왔다. 그는 모든 불평등 사회란 불평등을 정당화하기 위한 이데올로기를 생산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정당화는 사유재산의 신성화로 귀결되며, 사유재산권을 신성불가침의 금기로 여기는 사회에서는 불평등이란 불가피한 것으로 간주된다. (44)
  • 오늘날의 주요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은 대량 감시를 기반으로 한다. 감시 자본주의는 대량 감시를 통해 획득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윤을 창출하는 자본주의다. (47)
  • 재벌 걱정, 연예인 걱정, 건물주 걱정은 세상에서 가장 쓸데없는 걱정이다. 그런데, 대한민국에는 이런 쓸데없는 걱정보다 훨씬 더 쓸데없는, 내가 보기엔 단연 최고로 쓸데없는 걱정이 있다. 미국 걱정이다. (78)
  • 더보기...

민주에서 진보로/이의엽/공감 20210315 280쪽 15,000원

구구절절 옳은 소리다. 왼쪽에서 하는 쓴소리라 더 아플 것이다. 그 소리가 사회를 변화시킨다. 가지 않은 길을 가는 것이 진보다. 문재인 정부는 가지 않은 길로 들어서질 못했고, 문재인은 용기가 없었다.

Comments